[전시일정] 황금통로(Golden Passage)
작성일 | 2014-11-06 16:13:14 | 조회수 | 115 |
---|---|---|---|
![]()
황금통로 2014 가창창작스튜디오 -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 결과전 INTERNATIONAL ART RESIDENCY PROGAM ■ 행사명 : 황금통로 Golden Passage ■ 일시 : 2014. 11. 15sat – 11. 23sun ■ opening : 2014. 11. 15sat / 3:00pm ■ 장소 : 가창창작스튜디오, 스페이스 가창 Golden Passage '황금통로’전은 3부분으로 나뉘어 전시되는데, 국내작가 10명은 Open-Studio형식으로 각 작가의 스튜디오를 개방하고, 1년간 입주하였던 해외작가 8명의 작업 결과물이 ‘스페이스 가창’에서 소개된다. 그리고 현 입주작가와 출신작가로 구성된 프로젝트 ‘가창의 기억’이 초청되어 가창창작스튜디오의 다양한 모습들을 입주하였던 작가의 시선으로 경험할 수 있다. 젊은 세대 예술가들의 예술동향을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하여 파악하고 감상할 수 있고, 2014 가창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들의 창작현장과 교류의 흔적들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passage’는 1786년 파리가 근대 도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건물과 건물 사이에 놓인 거리를 아치형의 유리 지붕으로 연결하여 생성된 새로운 공간이다. 악천후나 교통혼잡을 피해서 안락한 쇼핑, 한적한 산책, 공연 등 유희시설을 즐길 수 있는 이 임시적인 통로는 내부와 외부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려있는 공간이다. 그리고 수많은 입구와 출구들을 동시에 가지고 있고, 개인이 소유하면서 모두가 사용하는 경계가 모호해진 동시성을 가지고 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passage’에서 유행이 지난 사물, 전성기가 지난 풍경이 제공하는 기묘한 분위기, 몽환적 분위기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나의 통로를 지나 균형과 질서를 회복하고, 새로운 역할을 찾아내어 또 다른 관계로 이어지는 과정은 우리에게 끊임없이 지속되어지고 있다. 이 통로 안에서 섬광처럼 가치있는 어떤 만남의 순간을 경험하기도 한다. 예술가들 간의 경계없는 교류는 서로에게 새로운 세계 혹은 자기 자신을 발견하게 하기도 한다. 공간과 공간, 이전과 이후를 이어주는 임시적인 공간이 가진 열려진 가치를 가창창작스튜디오 예술가의 삶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초청 프로젝트> 우리동네 로드맵 Road Map Project For My Town - 가창의 기억 기획: 오정향(가창창작스튜디오 5기 입주작가) 참여작가: 김성재, 신승재, 안민, 오정향, 이은재, 전동진 작가가 살아가는 환경으로서의 ‘가창’에 대한 기록물 형태의 작업들과 아카이빙을 통해 건물, 장소로서 가창스튜디오가 아닌 작가 삶의 일부이자 의미체계로서 가창스튜디오와 그 일대 지역에 대한 의미를 환기시키고, 이러한 경험들을 공유하는 기회를 만들고자 한다. <2014 가창창작스튜디오 - 국제레지던시 프로그램 결과전이란?>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은 현대미술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해외작가를 초청하여 국제교류를 통한 문화이해 및 창작활동을 지원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국내작가들과 해외작가들 간의 직접적인 접촉과 교류를 시도하여 서로의 이해를 높이고, 상호 소통하여 작가적 역량을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창창작스튜디오에서는 올해부터 입주작가와 지역의 젊은 미술작가를 선발하여 해외 레지던스 프로그램 파견을 통해 국제적인 시대감각을 체험하여 창작활동의 새로운 동기를 부여하고, 해외교류네트워크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중국 항주의 중국미술학원국가대학과학기술(창의)원 레지던스 프로그램과 협약 체결하여 상호교류하게 되었다. 2014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은 이탈리아, 프랑스 작가가 1차로 선발되었고, 2차부터 4차까지 3차례 중국 작가가 2명씩 각 3개월간 입주하여 국내작가들과 함께 교류하면서 창작활동과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
|||
첨부파일 |
이전글 | ‘( ) Scape 展’ |
---|---|
다음글 | 힐링아트타임 파트 4' 교육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